악과 윤리 개념은 진화되었는가?/평신도를 위한 신정론 해석(3) 악과 윤리 개념은 진화되었는가? 평신도를 위한 신정론 해석(3)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조덕영박사 신학과 진화론 현대 세속 과학의 우주 기원과 생명관은 분명 진화론에 주로 그 뿌리와 근거를 두고 있다. 진화론이야말로 설득력 있는 과학의 사실이라는 데 주로 근거를 두고 세속 과.. 말씀의 은혜/신앙,시사,목양 칼럼 2015.09.24
우울과 희망 -욥 3:26 우울과 희망 -욥 3:26 ▲이선이 목사 사람은 먹지 않고 40일을, 마시지 않고 3일을, 공기 없이 8분간을 버틸 수 있지만, 희망이 없이는 1초도 견딜 수 없다는 말이 있다. 그런데 우울증은 이러한 희망을 앗아가는 나쁜 증상이다. 그래서 우울에 잘 대처해야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 말씀의 은혜/신앙,시사,목양 칼럼 2015.09.21
특별하고 소중한 관계 속에서 특별하고 소중한 관계 속에서 ▲강선영 목사 지독한 여름을 보내고 열병을 앓다 구사일생한 듯한 느낌으로 가을을 맞이한다. 지난 여름에는 수많은 일들이 몰아쳐 너무 고단했었나 보다. 살아남아 새로운 가을을 맞이할 수 있음을 감사하게 된다. 때때로 내가 새로운 고난과 시련을 맞이.. 말씀의 은혜/신앙,시사,목양 칼럼 2015.09.19
젊은 창조 연대는 악의 문제 해결에 우호적인가?/평신도를 위한 신정론 해석(2) 젊은 창조 연대는 악의 문제 해결에 우호적인가? 평신도를 위한 신정론 해석(2)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조덕영박사 어거스틴이 악의 문제에 대해 접근한 이후, 루터와 칼빈 그리고 라이프니츠를 거쳐 이후 임마누엘 칸트, 헤겔, 화이트 헤드, 칼 바르트, 포사이스(P. T. Forsyth, 1848-1921), .. 말씀의 은혜/신앙,시사,목양 칼럼 2015.09.17
남성의 우울 -출 15:22 남성의 우울 -출 15:22 ▲이선이 목사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증에 걸리는 확률이 높다고 한다. 하지만 남성은 여성과 같이 표현하지 않고, 자신의 정서적 고통을 숨기는 경우가 있다. 남성들은 보통 자신의 감정을 잘 돌보지 않는 편이기 때문에, 우울증세가 있더라도 잘 인정하.. 말씀의 은혜/신앙,시사,목양 칼럼 2015.09.14
순종, 섬김의 영성 순종, 섬김의 영성 ▲소강석목사 새에덴교회,시인 좀 몸을 무리해서 병원 신세를 져야 했다. 남들은 무리하지 말라고 하지만 어떻게 안팎으로 무리를 안 할 수 있겠는가. 퇴원했던 다음 주일 오후에 우리 교회 장로님들이 한 명도 빠짐없이 내 방을 찾아와 탄원서를 내밀었다. “목사님, .. 말씀의 은혜/신앙,시사,목양 칼럼 2015.09.10
(惡)은 어디서 온 것인가?/평신도를 위한 신정론 해석(1) 악(惡)은 어디서 온 것인가? 평신도를 위한 신정론 해석(1)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조덕영박사 기독교 신정론이 대두되는 이유 “악(惡)은 도대체 누가 만들었나? 성경의 하나님이 모든 것의 창조주시라면 악도 결국 하나님의 창조물 아닌가? 하나님이 계신다면, 도대체 왜 악이 존재하.. 말씀의 은혜/신앙,시사,목양 칼럼 2015.09.10
성령의 9가지 열매 성령의 9가지 열매 ▲김형태 총장(한남대학교) 바울(Paul)이 갈라디아 교회에 보낸 서신에서, 신앙인의 9가지 덕목을 제시한 바 있다(갈 5:22-23). 하나님께 대해(3개) ①사랑(仁愛/love) ②기쁨(喜樂/joy) ③평화(和平/peace)가, 이웃에 대해 ④오래 참음(忍耐/forbearance) ⑤자비(恩慈/kindness) ⑥착함(.. 말씀의 은혜/신앙,시사,목양 칼럼 2015.09.07
슬픔아, 슬픔아! 슬픔아, 슬픔아! ▲강선영 목사 계절이 가을로 접어들면서, 뜨겁던 공기도 가라앉고 열에 들떠 있던 거리도 가라앉고 사람들의 표정도 차분히 가라앉고 있다. 그리고 오늘은 고즈넉한 가을비가 내리고 있는 거리를 걷다, 오랜만에 사람들이 오가는 모습이 그대로 보이는 통유리창이 사방.. 말씀의 은혜/신앙,시사,목양 칼럼 2015.09.05
사막의 영성 사막의 영성 ▲소강석목사 새에덴교회,시인 중국을 비롯해서 세계 곳곳이 해마다 사막화가 되어 간다. 우리나라에 봄이 되면 갈수록 짙은 황사현상을 이루는 것도 중국의 사막화 때문이다. 그런데 이 지구의 사막화보다 더 위험한 것이 있다. 그것은 우리 영혼의 사막화다. 우리의 내면.. 말씀의 은혜/신앙,시사,목양 칼럼 2015.09.02